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차 실내의 온열환경평가(Environmental Evaluation of the Indoor Thermal of Vehicle)

전문가 제언
□ 공조관계의 ISO(국제표준화기구) 최신 동향으로서 자동차차실내의 온열환경평가가 주목되어 있고 ISO/TC 159(인간공학)/SC 5(환경 인간공학)/WG 1(온열환경)의 전문가위원회는 새로운 IS(국제표준규격)로서 ISONP 14505: 차실내의 온열환경평가(Evaluation of the thermal environments in vehicles)의 작성을 행하고 있다. 차 실내의 온열환경의 평가를, 서멀 마네킹(Thermal Manikin)으로 행하여 그 평가법의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WG는 유럽의 대표적 자동차 메이커 6개사와 공동연구를 실시하여 차량과 마네킹을 사용한 실측을 행하고 있다.

□ 이와 같이 자동차의 공조(空調)의 평가에는 피험자를 사용하여 감각을 보고 시키는 관능평가의 수법이 종례부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험자간의 열적(熱的) 상태의 차이로 인한 평가결과의 상이성, 감각의 정도 표현에 기인하는 개인차를 필연적으로 포함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금년에는 온열환경이 인간에게 미친 결과를 생리상태의 변화로서 계측하여 생리량(生理量)에 따라 온열감각을 정량적으로 평가, 추정하려는 연구가 성행되고 있다.

□ 해외에서는 자동차 내의 온열환경평가에 스웨덴의 Wyon등이 서멀 마네킹을 사용하고 있다. Banhidi 등도 난방환경평가에 관해서 Wyon이 작동한 서멀 마네킹을 사용하여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Wyon등의 연구에서는 평가 예는 공표되어 있지만 이들의 계산의 기초가 된 서멀 마네킹의 열손실(熱損失)과의 수량적인 관계는 공표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피부온도 일정 제어형(一定制御型)의 서멀 마네킹을 사용한 실험도 행해지고 있다.

□ 우리 한국의 자동차 업계에서도 자동차의 공조 중에서 자동차 차 실내의 온열황경평가의 최첨단기술을 도입하여 연구하고, 그 기술을 활용함으로서 세계시장의 치열한 경재에서 생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Kazuhiro Matsunag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78(1)
잡지명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11
분석자
김*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