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침투성 흡수 방지재에 관한 소감

전문가 제언
□ 최근엔 건축 미관 확보 측면에서 노출 콘크리트 마감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나, 오염이나 열화현상 등의 경년 변화 현상이 발생되고 있고 이는 기존 콘크리트 건물에서도 이에 대한 보수가 거듭되고 있어 건물주를 포함한 관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 이유는 골재 중의 염분이나 산성비, 오염물 부착, 해풍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표면부터 중성화 이어서 산성화 되거나, 알카리 골재 반응, 동해 및 백화현상에 의한 것으로, 처음엔 미관 문제에서 시작되어 강도 문제에까지 폐해가 커지고 있다.

□ 그러나 수많은 방수 및 발수 관련 재료가 계속 출시되고 있어도, 재료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지만 또한 시공 및 유지 보수도 못지않게 중요하여 의사 결정에 많은 부담이 있는 현실이다.

□ 재료는 도막형 이나 침투성 흡수 방지재가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고 시공 및 유지보수의 시기 및 방법 등 여러 변수가 있는데, 주요 참고 사항인 한국 공업 규격에도 부착 강도, 초기 건조 잔 갈림 저항성, 냉온 반복 저항성, 내 충격성, 가요성, 투수성, 내후성, 난연성 등 일부 부분만 규정되어 있고 기타는 각 메이커의 자체 기준으로 되어 있어 선정이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 따라서 관련기관 및 업체에서 조속히 이러한 사항을 정립하여 규격화하고 공인기관의 시험 결과를 비교 참조토록 함으로서, 재료의 오용을 막고 보수 사이클을 더욱 늘릴 수 있다면 환경 측면이나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Teru takesh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5(2)
잡지명
방수저널(B51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7~63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