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주변 제국의 석유와 천연가스 관련사업 장래 동향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는 현재, 특히 세계의 열강들이 자국의 안보차원의 중요 정책으로, 안정적인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해 동원 가능한 최대한의 노력을 집중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기에서 지구상의 에너지자원 보유국으로 되어있는 가장 중요한 중동지역이 우리나라에게도 수입에너지의 거의 대부분의 운명을 걸고 있는 지역이란 점에서, 한 일본의 엔지니어링 업체가 분석한, 이지역의 상세한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 설명은 대단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 중동국가들은 사실상 가진 것은 뜨거운 모래사장과 지하에 매장되어있는 에너지자원뿐이다. 본 문헌을 통해서 느낀 것이지만, 국민생활의 모든 의식주의 필수품을 100% 국가가 부담하여온 지금까지의 정책을 바꾸어, 이제부터는 머지않아 6억을 바라보는 인구에게, 공업화를 통한 경제발전과 인구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젊은층의 일자리 창조에 초점을 맞춰, 자원이 고갈되기 이전에 빠른 속도로 필요한 국가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그들의 정책을 우리는 깊이 음미해야 할 것으로 본다.
☐ 그러나 중요한 것은 순리에 입각한 상호 협력체제 안에서 상호이익이 되어야 할 것이고, 이런 취지 하에 세계 자본들이 중동에 막대한 자본투입을 감행하여 왔다고 보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우리는 과연 얼마만큼이나 실제적으로 노력해 왔는지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일본이 1980년대부터 기초를 닦아 왔다고 하는데, 비록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도 정부와 민간이 일체가 되어 가장 효율적이고 실천 가능한 계획을 수립, 세계의 에너지자원 보유국인 중동지역 국가들로부터의 안정적인 에너지자원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Ryutaro Iw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69(1)
- 잡지명
- 석유기술협회지(L10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7~54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