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가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 및 그 동향
- 전문가 제언
-
□ 휴대전화에 대해서도 장시간 저 준위로 인체가 노출되어도 아직 인체 손상에 대한 명백한 증거가 없는 상태이고 고 전력 송신탑에 의한 것도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미국의 RAPID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또한 일본에서 유전자 측면에서의 전자계와 화학물질에 의한 연구에서도 전자계가 인체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는 명확한 결론을 얻지 못하고 있다.
□ 그러나 일부 논문에서는 인체의 유해성을 제기하고 있는 것은 환경 조건이나 인체의 복잡성에 기인한 것도 있을 수 있는데 아직 그 명확한 증거를 찾을 수 없는데 있다. 향후 이러한 문제 제기는 기술발전과 더불어 전자, 통신기기의 사용 증가로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사료되고 사회적 이슈로 다시 제기될 수도 있다.
□ 우리나라에서 정보통신부 주관 하에 전자파 인체유해성 여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어 다행으로 생각하나 정부차원에서의 고 전력 송전선에 대한 전자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고 단지 단편적으로 몇 개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 특히 저준위 전자파 혹은 전자계에 대한 인체의 유해성은 인체의 복잡성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리고 관련 환경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방대하게 검토되어야 하는 만큼 정부차원에서 필요시 자금 지원이 필수적이다 하겠다. 이에 선진국의 연구 동향과 그 접근방법에 대하여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고 그에 대한 대처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Hiraku TAKE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16(10)
- 잡지명
- 전자환경공학정보EMC(F2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8~85
- 분석자
- 박*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