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아미노산과 아미노산라세마제의 연구동향(Recent development in D-amino acid and amino acid racemase
- 전문가 제언
-
□ D-아미노산은 천연적으로는 생성이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 다양한 약리 및 생리기능을 가진 유도체들이 속속 개발되면서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 천연 L-아미노산은 20여 종이지만, 이들을 D-형으로 전환하는 카이랄 기술이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에서 개발되어 3,000여 종이 넘는 아미노산유도체가 이미 의약품․동물약품․식품․화장품․농약․화공품 등의 정밀화학산업에 이용되고 있는 터이다. 이 시장은 일본의 Kyowa Hakko․Ajinomoto․Tanabe Seiyaku, 미국의 DuPont․Monsanto․Merck, 독일의 Degussa 등이 독과점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PGA를 포함하여 20~30여 종이 개발되어 있을 뿐이다. L-아미노산 산업은 중국 등의 개발도상국들에게 이미 제조원가 경쟁에서 뒤진 상태이므로, 부가가치가 높은 신규 아미노산유도체를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효기술 뿐 아니라 이들을 D-형으로 전환하는 카이럴(chiral tech)을 포함한 다양한 하이브리드기술(hybrid tech)의 개발이 필요하다.
□ 아울러 새로 각광받는 D-아미노산의 역할과 생리기능 및 반응기작을 규명함으로써, 신약 또는 신물질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문제는 이러한 기초분야에 대한 연구를 누가 인내심을 가지고 예산을 들여 추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당위론이 아닌 실천방안의 수립을 위한 진지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YOKOIGAWA, Kumio ; SODA, Kenj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62(2)
- 잡지명
- Bioscience & industry(C0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7~92
- 분석자
- 임*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