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생명 과학의 현상과 미래(Status and Future of Space Life Sciences
- 전문가 제언
-
□ 지구상의 생명은 중력 밑에서 진화하고 있으며, 중력은 우리들의 모든 살아 있는 조직체에 항상 있으며, 그리고 생명현상에 중력의 기초적인 역할의 해명은 그 우주생명 메커니즘, 개발, 차별화, 진화 등과 같음에 관하여 전체적인 이해에 크게 공헌하였다.
□ 궤도 안에서의 실험과 변화된 중력을 파라미터로 사용한 지상기초연구들로부터 생명과 중력의 관계에 관하여 많은 지식을 획득 된다. 더욱이 장기간 우주에 살면 골 손실, 근육쇠약, 면역시스템의 변경, 적혈구의 감소, 등을 일으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생명에 대한 중력의 영향의 시스템적 해명은 성취되어 있지 않다. 우주생명과학의 증진과 성취에 관하여, 과거의 연구의 결과와 지식의 기초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이용에 직면하고 미래우주생면과학연구들의 방향적 특성과 중요성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우주 게놈과학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그 성과는 생물의 생리적 기능, 형태 형성, 개체와 군락, 생태계, 생물권의 전용(전체의 모습)등, 우주 행동과학과 우주 환경과학의 기초와도 연결되어 또한 자녀를 적게 낳는다든지 고령화 사회의 문제, 의료문제, 지구적 규모에서의 식량 문제 라든지 또 환경문제의 해결을 향한 새로운 시점을 준다고 생각된다.
□ 우주게놈과학은 우주 환경 하에서 발동케 되는 생물게놈의 유전자 정보로부터 지구과학과 연동하여 생명이나 생체 또는 사람 및 생물계를 구성하는 법칙을 발견해 가는 것에 연결되는 새로운 과학으로서 자리 매김 될 수 있다.
□ 인류의 생존과 활동범위의 기반을 확충하여 신산업의 기반형성의 촉진에 공헌하여 활력 있는 풍요로운 사회를 건설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우주 게놈 과학의 추진은 대단히 커다란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 저자
- Noriaki ISHIOKA ; Akira HIGASHIBATA ; Makoto ASASHI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21(1)
- 잡지명
- JASMA(J60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68~73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