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락토페린의 기능과 응용
- 전문가 제언
-
⃞ LF의 응용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왔으나 그 작용기작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명되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또한 응용 실험을 통해 인체에 유효한 효과가 검증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얻을 수 있는 LF 양이 극히 적어 가격이 높기 때문에 실제로 환자에게 투여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비록 작용기작은 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지만 응용예나 효과 면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으므로 어느 정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LF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 구미(歐美)에서는 유청을 원료로 하여 LF를 분리 정제하는 실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즈가 주식이 아닌 우리나라의 경우 유청을 원료로 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
⃞ 국내에서 대량 생산을 위한 연구는 지난 1997년 (주)두산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인간의 모유성분인 락토페린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형질 전환 젖소(보람이)를 국내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인간 락토페린을 우유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는 더욱 발전하여 현재는 재조합 곰팡이의 배양으로 인간 락토페린을 간단히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특허도 나오고 있다.
⃞ 이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항균성이나 면역성이 보다 증가 된 재조합 락토페린의 시도나 곰팡이보다 생산이 쉬울 수 있는 효모에서의 신규 재조합 락토페린 생산공정 개발이 실용화될 날이 멀지 않으리라 기대한다.
- 저자
- K. Yama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61(10)
- 잡지명
- Bioscience & industry(C0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16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