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과 펙틴 섭취에 의한 알레르기 등 생활습관병의 예방(Prevention of Lifestyle Diseases, such as Allergy, by Intake of Apple Pectin)

전문가 제언
□ 펙틴은 이미 사과 뿐 아니라 감귤류 성분으로서 물로 추출하여 얻어지며 메틸화 D-galacturonic acid가 α-1,4 결합한 헤테로 다당류의 일종으로 국화과 식물의 근경 저장 다당으로서 과실, 야채 등의 식물체의 세포 구성성분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감귤류의 과피에 많이 함유한다.

□ 펙틴은 증점제, 안정제, 겔화제 등으로 여러 가지 가공식품이나 화장품의 첨가물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이미 건강식품의 구성성분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 역학적 조사에서 사과펙틴의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의 억제효과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혈중 히스타민 억제에 기인한다는 결과를 얻고 있는데 복잡한 면역반응 단계를 고려하면 좀더 철저한 생화학적 작용기전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펙틴이 수용성 식이섬유의 역할을 하는 것을 비롯하여 최근 여러 가지 생리작용이 보고되었고,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갑각류의 키틴 및 키토산 의 식이섬유의 역할과 매우 유사점이 있으므로 이 방면의 실용성과 연구 과제를 고려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최근 연구에 의해 키위의 과실에서 펙틴을 파괴시키는 펙틴 메틸에스테라제의 저해작용이 규명되었고, 19~55세의 인체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만성장염 억제효과가 보고되었다. 또 transglutaminase polymerged pectin 콩단백의 결합물이 식용 랩의 제조에 성공하였다는 연구 보고 도 있다.
저자
Tanaka K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46(22)
잡지명
식품공업(A0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5~52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