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식품소재 "Coenzyme Q10"
- 전문가 제언
-
□ 비타민 중 수용성 비타민들은 대부분 대사계를 원활하게 하는 효소의 보효소 역할을 하고 있는데 coenzyme Q10도 역시 명칭에서 보여주듯이 보효소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용성이긴 하지만 학자들 중에는 대부분 비타민으로 분류하고 있다. 발견 당시에는 비타민과 같이 대사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체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어 비타민으로 분류한 것이 비록 인체에서 생산되지만 현재도 관례상 비타민으로 분류한다.
□ 이미 발견 초기부터 잘 알려진 것이지만 Coenzyme Q10의 가장 기본적인 생리작용은 크게 두가지로서, 첫째가 전자전달계의 구성분자로서 세포의 모든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며 두 번째가 지질 등에 대한 강한 항산화작용으로 세포나 미토콘드리아의 생체막에 있는 lipoprotein의 안정성을 높여주어 세포 활동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 외에 면역증강 작용 등 몇 가지가 보고되고 있다.
□ 오늘날 노인성 질환은 물론 성인병에 이르기까지 그 중에서도 특히 Alzheimer병이나 노화의 원인이 산화에서 비롯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항산화작용이나 전자전달계에 의한 활력 증강 등을 위해 앞으로 CoQ10의 섭취량이 일반 영양제와 같이 증가될 것이 확실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국내에서도 다른 바이오텍 관련 제품의 생산 개발에 못지않게 CoQ10의 대량생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일반적으로 생리활성 물질들은 섭취량이 극히 미량이므로 실험실 규모나 파일럿 규모로 산업적 생산이 가능하므로 소자본으로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산업이다. 현재 이 CoQ10은 대장균을 이용한 대사공학적인 방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까지도 개발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일반 비타민류와 같이 섭취가 가능하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 저자
- Yoshimura iku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6(22)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0~25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