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식품미생물의 신속정량기술의 개발(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Quickly Quantifying Microbes in Food Using Chemical Luminescence)
- 전문가 제언
-
□ 미생물의 신속검사법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화학발광법은 감도가 높기 때문에 형광측정 시스템과 함께 자주 이용되는 분석법이다. 이 화학발광법과 면역분석법이 결합하여 사용되었을 때, 반응에 의해 발생한 빛은 검체에 있는 분석물의 양을 반영한다. 직접 화학발광법(direct chemiluminescence)는 부가적인 단계나 증폭분자 없이 직접적으로 광에너지를 측정한다. 이때 부수적인 촉매나 기질이 필요 없는 AE(acridinium ester)를 화학발광 라벨(label)로 사용할 수 있다.
□ 예로 AE를 사용하는 직접 화학발광법은 쉽게 자동화 할 수 있고, 시약의 보관기간, 빠른 반응시간, 분석 감도 등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보다 긴 보관기간을 위해 AE의 dimethyl form을 사용한다. AE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산화되고, 산성에서 염기성으로 바뀔 때 광의 발산이 최대화된다. 산화는 빠르게 일어나고 최대 빛발산은 1초내에 도달한다. AE를 이용한 빠른 반응시간과 낮은 background는 직접 화학발광법을 RIA나 EIA방법보다 빠르게 해준다. AE분자는 EIA에서 사용하는 alkaline phosphatase 분자보다 매우 작다. 이와 같이 보다 작은 크기의 분자는 결합부위의 방해를 감소시키고, 확산속도와 반응 감도를 증가시킨다.
□ 항체는 한 항원에 대한 대응으로 면역기전에 의해 생산되는 단백질이다. 항체는 특정 항원에 대해서만 결합하므로 면역분석법에 사용하기에 이상적이다. 면역분석법에서 항원은 측정되어질 분석물질이다. AE는 항체의 항원에 대한 결합능을 변화시킴 없이 항체와 공유결합을 할 수 있다.
- 저자
- Asakawa A, Kawasaki S, Yamashoji S, Itsshiki K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61(16)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2~38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