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열회수형 쓰레기소각로의 계측제어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쓰레기 소각로의 고효율화
○ 쓰레기 소각로에서 열을 회수하여 발전을 실시할 때, 일반적으로 높은 효율을 얻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소각로 내의 온도가 450~800℃ 사이에서는 다이옥신류의 생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소각을 하기 때문이다.
○ 금번 소개한 Kobe제강의 쓰레기 소각로는 쓰레기 자체를 태우기 때문에 열효율이 20%를 넘는 것도 대단한 성과라고 생각한다.
□ 쓰레기처리에 있어서의 신기술 개발
○ Kobe철강은 쓰레기소각을 위해서 유동상로에서 쓰레기를 그대로 태울 수도 있고, 쓰레기 고형화연료(Refuse Derived Fuel: RDF)를 쓸 수도 있도록 하는 한편, 하수오니 소화가스에 의한 발전시설도 공급함으로써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 아울러 유동상로에서는 500~600℃로 일차 쓰레기를 기화하고, 이를 다시 와류유동 용융로에서 1,200℃로 완전 연소시키는 한편, 여기서 나온 슬래그를 도로포장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 특히 이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여, 실험로를 통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으며, 그 정밀도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의 대책
○ 우리나라는 각 시군이 별도의 쓰레기소각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 가운데 일부만이 여기서 나오는 열을 회수하여 발전에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는 각 시군이 운영하는 쓰레기처분장에서 RDF를 생산하여, 이것을 집중적으로 연소시키는 10MW급 이상의 발전소를 건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아울러 이들에 대한 발달된 계측기술에 의go 유해가스에 대한 우려가 없음이 확인된다면, 도시 가까이에 이를 건설하여, 열도 함께 공급하는 열병합발전을 할 수 있어 에너지자원의 절약에도 크게 기여할 수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 저자
- Makishi NAKAYAMA, Nobuyuki TOMOCHIKA, Tomoyuki MAEDA and Yukihiro SHIRA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7(7)
- 잡지명
- SYSTEMS CONTROL AND INFORM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30~335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