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재순환형 발전시스템의 제어
- 전문가 제언
-
□ 자원 재순환의 중요성
○ 일본은 쓰레기를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에너지절약을 실시한다는 방침에 따라, 고효율의 폐기물발전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2000년 현재로 쓰레기발전전력량은 100만 kw로서, 이를 석유로 환산하여 연간 75만 톤의 석유수입을 절약할 수 있다.
○ 우리나라도 서울 목동 및 성남 분당의 4,500kw급 쓰레기발전소를 비롯하여 십여 군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대부분 다이옥신류의 발생을 우려하여 주증기온도 약 200℃ 정도로 효율이 그리 좋지 않다.
□ 고효율의 쓰레기소각발전소의 도입
○ 일본의 카와사키중공업은 이중 칸막이벽구조의 내부순환형 유동상로를 채택함으로써, 주증기온도 500℃가 넘고, 효율이 30%이상인 다이옥신류의 발생이 거의 없는 RDF 연소 발전시스템을 개발하여, 큐슈의 오무타에 발전용량 20,600kw이라는 일본 최대의 폐기물발전소를 공급하였다. 이는 후쿠오카(服岡)와 쿠마모토(熊本)의 두개 현이 힘을 합쳐서 건설한 것이다.
○ 우리나라는 각 시군이 별도의 쓰레기처분장 및 소각장을 운영하므로 그 규모가 작아 쓰레기를 연료로 하는 발전시스템의 도입이 어렵다. 따라서 RDF는 저장 및 수송이 쉬우므로 우리나라도 각 시군이 운영하는 쓰레기처분장에서는 RDF를 생산하고, 이것을 몇 군데로 집중시켜 환경에 대한 우려가 없고, 대규모, 고효율의 발전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Shouji MURAKA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47(7)
- 잡지명
- SYSTEMS CONTROL AND INFORM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24~329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