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생산현장에서의 계측 제어의 최신 기술과 과제(New Technology and Issues of Instrumentation and Control in Agricultural Production)
- 전문가 제언
-
□ 1980년대에는 농업의 공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식물공장이 제창되고, 대학이나 민간 기업에서 연구가 활발히 행해졌다.
○ 식물공장이란 환경제어나 자동화 등 하이테크를 이용한 식물의 주년(周年) 시스템인데, 날씨에는 좌우되지 않고, 일년을 통해 계획적으로 안정된 생산이 수행 가능한 생산 시스템이다.
○ 그리고 계획 및 주년(周年)재배라는 특징 외에, 외계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균이 침입이 없기 때문에, 완전 무농약 재배가 가능하다는 점도 커다란 특징이다.
□ 앞으로 정밀농업의 도입으로 그 지역의 농정이 정보화되어 재배 이력이나 토양관리의 실태가 데이터에 의거하여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데이터로 뒷받침된 재배이력을 가진 농산물을 출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이것이 농업의 새로운 지적 부가가치가 된다.
□ 수확후처리 기술을 위하여 농산물의 시장 출하되기까지 유통 과정은 물론이고 개개의 농산물 생산에 관한 모든 정보, 다시 말하면 생산자 정보, 농장 정보, 종자 및 육묘(育苗)에 관한 정보, 비료나 농약의 시비 월일 및 시비량 등 재배기간 중의 정보, 수확, 조정에 관한 정보, 출하시의 농산물의 정보를 집약하여 축적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해진다.
○ 이들 정보는 소비자가 그 농산물의 안정성 등을 판단할 때에 사용함과 동시에, 생산자도 수익성, 농산물의 품질, 환경부과 등을 고려하면서 지속적인 생산을 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 저자
- Hiroshi SHIMIZ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7(7)
- 잡지명
- SYSTEMS CONTROL AND INFORM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13~317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