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미생물을 이용한 쓰레기로부터 수소제조기술

전문가 제언
□ 일본의 경우 식품폐기물은 연간 1,900만 톤이 배출되는데, 그 중 10%만이 퇴비나 사료로 이용되고 90%는 소각 또는 매립되고 있다. 식품폐기물은 수분이 80%나 되므로 소각하는데 열이 많이 소비된다. 1 톤을 소각하는데 30,000 엔이 소요된다고 한다. 그 뿐 아니라 독성 있는 다이옥신이 발생하여 대기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시민건강에도 유해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또 매립의 경우에는 매립할 수 있는 장소가 이미 한계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은 2001년 5월에 ‘식품순환자원의 재이용 등의 촉진에 관한 법률’의 시행에 들어갔고, 연간 100만 톤 이상의 쓰레기를 배출하는 사업자는 5년간에 20%의 재생이용(재생+감량)을 요구받고 있다. 2002년 6월 에너지 분야를 중점추진영역으로 정하고 연료전지와 수소이용을 강조하면서 2010년까지 1조 엔의 시장규모를 목표로 하는 통 큰 에너지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부러운 일이다.

□ 한국의 환경부자료에 따르면 2001년의 하루 생활쓰레기 배출량은 48,500 톤인데, 95년 종량제 실시로 감소하다가 1999년부터 증가추세이다. 처리실태는 1995년에 매립 95.4%, 소각 2.5%, 재활용 2.1%였던 것이 2001년에는 매립 34.3%, 소각8.9%, 재활용 56.8%로 크게 바뀌었다. 매립공간의 한계성, 주민들의 님비현상 등 자치단체의 어려움을 보는 듯하다. 매립은 토양을 황폐화하기 때문에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재활용 내용은 2001년에 사료화 55.3%, 퇴비화 40.7%, 메탄화 기타 4.0%이다.

□ 한국정부도 일본의 연료전지와 수소이용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정책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식품폐기물로부터의 수소의 제조와 수소의 저장, 수송에 관한 연구에 과감한 투자가 요망된다.
저자
Lei Shuhong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8(9)
잡지명
ECO industry(B789)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25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