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가축분뇨의 에너지화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 시스템

전문가 제언
□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로 하는 퇴비는 가축분뇨 퇴비와는 달라서, 토양개량효과가 적다. 또 축산집중지역은 분뇨가 과잉이 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이용하는데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은 사료화가 강구되어야 한다.

□ 우리나라의 음식쓰레기 발생량은 하루에 15,075톤으로 8톤 트럭 1,888대분에 해당되는 양이다. 전체 생활쓰레기 발생량의 31.6%이며, 그중에서 채소류가 전체의 53.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어패류로 18.6%이다.

□ 음식쓰레기 자원화의 적정성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30%이고 사료용 곡물수입 의존도는 무려 96%로서, 1998년도에 부족사료용 곡물수입에 18억 달러나 들었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사료로 재활용하면 사료용 곡물수입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폐기물이 아닌 유용한 자원으로 분류되고 있는 만큼 잠재적 활용성이 매우 높다.

□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의 영양적 측면
음식물 쓰레기는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단백질과 에너지 공급원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처가 다양하고, 사용하는 음식물도 다양하여 영양소의 함량이 배출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한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수분(79.5%) , 조단백질(5.0%), 조지방(3.0%), 조섬유(1.1%), 가용무질소물(9.27%)

□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의 문제점
경제적 측면이나 영양적 측면에서 적정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에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2001년 광우병이 문제가 되었을 때,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를 통한 동물성 사료가 광우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었다. 또, 2001년 영국의 구제역은 역학조사결과 음식물 쓰레기 사료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텍사스주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를 법률로 전면금지하고 있다. 병원균을 없애기 위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할 때는 100℃에서 30분 이상 가열 멸균하도록 되어 있는 법규정이 철저히 지켜져야 하겠다.
저자
Kenichi Yakushidou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8(9)
잡지명
ECO industry(B789)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18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