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응용 에너지절약 기술의 최신 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정부산하의 에너지관리공단을 중심으로 에너지절약시책을 폭넓게 펼쳐 나가고 있다. 에너지절약 제품에 소비효율을 기준으로 1~5단계로 구분홍보, 건물에너지등급제, 에너지절약 자발적 협약(VA), 고효율기기의 설치 권장 등 많은 홍보, 진단서비스도 병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전력수요관리 추진과제에서 수요처 부하곡선을 이용한 전력 사용형태분석(2002년 실시)을 하는 등 건물과 가정에너지에 대한 기초조사는 되어있는 상태이나, 각 설비별 에너지제어 시스템에 개방형 통신기술을 채택해서 설비별 제어시스템 간 에너지관리 데이터의 호환 및 집중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은 개별수요처의 일부분에 도입되고 있고 아직 범용성을 갖지 못하여 양산화로 가기는 쉽지 않은 수준이다.
□ 특히 각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을 비롯한 많은 부분이 표준화되어 국내외 생산기기 간 호환성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의견수렴 및 통일이 되어야 하겠다.
□ 우리나라는 아직 가정에선 가정자동화의 일부인 각종계량기의 원격검침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다행히도 IT부문의 발전에 따라 에너지절약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개발은 쉽게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므로 업계공동의 표준화 노력과 함께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한다면 커다란 에너지절약 효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Hiroyuki Kud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8(8)
- 잡지명
- ECO industry(B7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11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