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탄자화균에 의한 메탄으로부터의 액체연료 생산기술
- 전문가 제언
-
□ 메탄을 1단계로 메탄올로 직접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연구자와 기술자들의 오랜 꿈이었다. 그런데 아직 실험실 규모이기는 하지만 그 가능성이 열리고 앞으로 에너지문제와 환경문제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21세기의 과학기술한국을 책임질 국가 중점투자 사업인 바이오산업기술(BT), 정보산업기술(IT), 나노산업기술(NT), 에너지산업기술(ET) 사업 중에 두 가지에 관련되는 사업이기도 하다.
□ 석유자원이 없는 한국으로서는 유기성 폐기물을 바이오가스로 변환해서 보일러에 의한 열회수나 가스엔진에 의한 발전을 검토해 볼만하나, 바이오가스 발생의 입지조건, 송전비용, 발생하는 메탄농도 등을 고려해서 경제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이 기술의 공업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배양기술의 개발 못지않게 생물반응기(Reactor Engineering)의 개발이 중요하다.
□ 물에 불용인 담체에 고정화한 생체촉매를 촉매로 씀으로써 연속반응이 가능한 반응기를 ‘고정화 생체촉매 반응기’라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① 생체촉매와 생성물의 분리가 필요치 않다는 점, ② 연속 반응이 가능하다는 점, ③ 반응기 단위용적당의 촉매밀도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점, ④ 생체촉매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런 장점을 살린 기상 생물반응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최근 바이오 프로세스에 있어서도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반응기에 고정화 생체촉매를 쓰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8(7)
- 잡지명
- ECO industry(B7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7~52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