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력발전 기술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미국풍력에너지협회(AWEA : American Wind Energy Association)와 유럽풍력에너지협회(EWEA : Europe Wind Energy Association)가 밝힌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풍력 발전의 용량이 3만9294MW에 이르러 2003년 현재 2002년보다 26%, 8133MW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평균 32%의 신장율을 보이고 유럽에서는 매년 35% 이상씩 성장해 왔다.
□ 독일이 2002년도 2645MW가 늘어나 전 세계 풍력 발전의 40%에 해당하는 1만4609MW의 용량을 생산하게 되었고 미국이 1687MW 증가로 6374MW, 스페인이 1377MW 늘어난 6202MW, 덴마크가 1377MW 늘어난 3110MW를 생산하게 되었으며, 이외에도 네덜란드, 이탈리아, 일본, 영국 등 많은 나라들이 수백 MW의 발전설비를 갖추고 있다.
□ 2003년 현재 유럽에서 풍력 발전은 전기소비량의 20%룰 공급하고 있으며 지상에서 높이 10m에 연평균 풍속이 5.4m/sec이고 1500kW급 정도의 대형 풍차를 건설할 경우 세계적인 풍차 메이커인 Vestas사가 계산한 풍력 발전단가는 1990년도에는 0.045Euro/kWh에서 점점 감소하여 2000년도에는 0.03Euro/kWh, 2003년도에는 0.029Euro/kWh로 제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점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북제주 해안지역 9000평에 풍력발전 성능평가 및 국산화 개발을 위한 풍력발전 성능평가 기지를 조성하여 메가와트급 성능평가용 풍력발전기와 풍향계측용 타워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의 발전 자회사인 남부발전(주)은 북제주에 1500kW급 4기로 구성된 단일기기를 설치해 4300여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6천kW의 전력을 생산하며, 추가로 건설해서 설비용량을 2만kW까지 늘릴 계획이다. 남부발전은 제주지역 외에도 강원도에 풍력개발에 대해서 연구하고 확장해서 2011년까지는 80만kW규모의 풍력발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필요한 에너지를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안정적인 에너지원의 확보가 계속 요구되고 있으며 환경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풍력발전의 개발과 확장은 빠르게 또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Yukimar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8(7)
- 잡지명
- ECO industry(B7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12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