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산물 CO2를 원료로 하는 신규 비포스겐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프로세스(A Novel non-Phogene Polycarbonate Production Process using By-product CO2 as Starting Material)

전문가 제언
□ 폴리카보네이트(PC)는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투명성, 자기소화성 등의 특성이 뛰어나 전기·전자분야, 정밀기계분야, 자동차분야, 보안·의료분야, 식품 잡화분야 등 여러 용도에서 채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범용 엔프라(Engineering Plastic)로 그 용도 범위가 더욱 넓어져 여러 수지 중 착실한 신장을 보이고 있다.

□ 국내에서는 일본 Mitsubishi 합작사인 삼양화성㈜에서 연간 5만7천 톤을 생산하고 LG-Dow Polycarbonate가 2001년부터 6만5천 톤 규모의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의 계면 중축합 반응에 의한 용제법(溶劑法), 비스페놀 A와 디페닐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용융법의 두 가지 제조법이 공업적으로 이용된다.

□ 전 세계 폴리카보네이트 거의 전량을 생산하는 6개 회사 그룹(GE, Bayer, DOW, Teijin,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 Idemitsu Petrochemical) 및 그 관련 회사들은 폴리카보네이트 대부분을 Phosgen을 원료로 사용하는 계면 축중합 반응으로 생산하고 있다.

□ 본문은 Phosgen 제조 방법의 문제점(맹독성 포스겐과 발암성 물질인 염화메틸렌 사용, 대량의 세정수 사용과 이로 인한 회수 에너지 과다 발생 등)을 개선 보완한 환경 친화적인 비Phosgen 공정을 개발한 일본 Asahi Chemial의 Asahikasei법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공정을 설명한 것이다.

□ AsahiKasei법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신 공정에서는 에틸렌옥사이드 제조 과정에서 부생하는 탄산가스와 에틸렌옥사이드 및 비스페놀 A의 세 원료에서 고 순도의 폴리카보네이트와 모노에틸렌글리콜을 고 수율로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자원 절약, 에너지 절약 및 폐수, 폐기물이 배출되지 않는 혁신적 공정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또한 건설비도 Phosgen법의 약 반 정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공정을 이용한 공장을 대만에 50000톤 규모로 합작 건설하여 2002년 이래 정상 운전 중에 있다.

□ LG-Dow Polycarbonate도 2003년에 포스겐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Non-Phosgene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공장 건설비용도 70% 줄일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상업화 성공 여부는 불명하다.

□ AsahiKasei법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법은 여러 면에서 차별성과 우수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므로 추후 공장 신설 또는 공정 개선을 검토할 경우 참조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특히 각종 특허 중복 여부도 조사해야 할 것이다.
저자
Shinsuke Fukuo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32(20)
잡지명
Fine chemicals(E40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12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