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의 시장동향(2)(Market Forecast on Alzheimers Disease Medical Treatment Agent(2))

전문가 제언
□ 일반적으로 신약개발은 상품화까지 평균 10년 정도이고 그 이상이 걸리는 것이 보통이다. 개발비도 5000억 정도가 소요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개발의 하나인 신약개발을 최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추진하려면 전문화된 경영을 해야 한다. 그러나 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은 과학기술자만이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과학기술을 전공하고 이 분야에서 오랜(적어도 15년 이상) 관리경험과 경영학을 함께 전공한 관리자가 개발대상의 목표관리를 하지 않으면 개발은 성공할 수 있을지 모르나 상품화에는 실패할 가능성이 너무 크다.

□ 기업에서 치매치료제의 개발도 같은 맥락으로서 먼저 시장성을 보려면 우리나라의 치매관련 통계를 면밀히 검토하여야 하고 만일 우리나라의 치매환자 중 혈관성 치매환자의 비율이 높다면 이 분야를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설정된 목표의 개발방향으로 개발 대상이 몇가지의 전문기술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정확히 분석해야 한다. 오늘날은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어느 상품을 막론하고 단일기술로 이루어진 것은 하나도 없다. 가령 혈관성 치매 치료제인 경우도 치료제 자체의 화학반응이 몇 단계를 거치는 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상품을 개발하려면 한 분야의 과학기술자들만으로는 불가능하고 반드시 각 전문기술부문마다 산학협동으로 outsourcing해야 하고 기업의 개발관리자는 outsourcing하고 있는 단위 전문분야들을 반드시 정기적으로 follow-up하여 항상 최종목표에 부합되도록 해야 한다. 각 분야들의 개발이 완성되면 이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상품으로 완성하게 된다.

□ 이러한 모든 연구개발 행위가 시스템화되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최단시간에 경제적인 상품개발이 될 수 있다. 특히 신약개발은 안전성이나 효능 등 FDA의 승인을 얻기 위한 임상시험을 거쳐야 하므로 이 분야에 대한 전문분야도 개발계획 초기부터 함께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동시에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저자
Market report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32(14)
잡지명
Fine chemicals(E402)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29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