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질관리에 배양세포를 이용하는 바이오분석(Their Uses in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Related Problems)

전문가 제언
□ 바이오분석 결과를 환경관리에 적용하는 것은 현 단계의 환경오염 수준에 있는 산업화 국가에서는 그 가치성은 충분하다. 예를 들면, 지방 공공단체의 여러 의견을 포함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환경부처의 ‘화학물질환경 오염실태조사’의 일환으로 이미 OECD나 ISO 등에서 규격으로 채용된 물질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은 장래의 환경관리 측면에서 큰 발전의 일보가 된다.

□ 바이오분석을 활용하는 환경관리는 현실의 환경 현장으로부터 출발하는 사후 대책이다. 법제화된 화학물질배출이동등록제도(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PRTR)는 우리들의 생활이나 산업이 환경부하를 주고 있는 것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유용하다.

□ 그러나 배출된 화학물질은 환경 중에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인간이나 생태계에 영향을 줄때까지는 많은 복잡한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과정을 거치므로, 그 전 과정과 인간생명과 생태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그래서 화학물질심사제도에 대표되는 사전대책, 생활권 · 산업계의 현황파악 방법으로의 PRTR은 새로운 환경 현장의 평가와 관리방법 등을 상호간에 이해하고 기술적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좋은 기능을 하는 제도로 사업소 상호간의 환경보호대책의 수준 조정과 환경물질 배출업자와 주변 생활인의 이해와 개선을 위한 협력체제의 구축을 위한 기초가 되는 제도로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바이오분석의 환경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시책의 필요성 유무를 판단하는 표준(criteria)으로 화학물질 지향형 관리에서는 기준치(농도)에 해당하는 것이고, 바이오분석 데이터와 사람 · 생태계에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결부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 미국 환경보호국(US-EPA)이 매우 실천적 가치가 높은 방식(TIE;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과 TRE; Toxicity Reduction Evaluation)을 제안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근거로 한 접근 방법이 바람직 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Yasuyuki Saki, Akiyoshi Sako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32(11)
잡지명
Fine chemicals(E402)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19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