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암효과를 갖는 신규 SOD 유사 작용 금속포르피린의 개발(Development of SOD Mimic Metalloporphyrin with Anticancer Ability)

전문가 제언
□ 체내에서 분자상 O2가 생물에 중요한 것이나 전자를 받아 반응성 높은 free radical(활성산소, ROS)이 되며 O2·-,, ·OH 가 되어 조직 손상의 원인이 되나 이를 특이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SOD가 모든 생물체 내에 존재하며 외부에서 가해 줄 수도 있다. 활성산소는 독성 효과가 축적되면 노화 촉진의 원인이 되며, 과산화지질, 치매, 동맥경화, 파킨슨씨병, 당뇨병, 백내장, 심장병 등으로 진전될 수 있다. 이때 SOD는 저하된다. methylcholanthrene이나 benz(a)pyrene 등은 유명한 발암제이나 배양근원세포의 염색체 절단을 일으킬 때 소의 Cu, Zn-SOD나 합성 항산화제인 butylhydroxyltoluene(BHT)에서의 방지효과가 인정되었다. MNNG를 인체피부의 5대 계대 섬유아세포에 적하시 비타민 C 및 산소를 통과시키면 변이율이 상승한다. 이때 미량의 Cu가 존재하면 보다 소량의 비타민 C로 같은 작용을 보인다. 비타민 C는 항산화제이나 이와 같은 해로운 작용에 가담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섭취량에 주의를 요한다.

□ SOD 유사작용물질로 알려진 3,5-diisopropylsalicylic acid(Cu[DIPs]2]은 마우스의 피부암 발생을 억제하며 Ehrlich 고형암을 갖는 마우스의 생존을 연장시키는 작용이 있다. Oberloy 등은 암의 생장에는 Mn-SOD의 유전자와 발암유전자 양쪽이 관계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많은 실험동물 암에서는 SOD, 특히 Mn-SOD의 저하가 인정되고 있으나 인체의 고형암에서는 반드시 저하하지 않으며 오차가 크다. 소의 Cu, Zn-SOD의 투여가 마우스의 Lewis 폐암세포의 폐에의 전이를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호중구가 암세포를 공격하기 위해 생성하는 O2·-을 소거시키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 암의 화학요법제의 결정적인 단점의 하나는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특성이며 수많은 화학요법제가 개발되었으나 치료상 한계점을 보일 수밖에 없다. 양이온성 SOD양 금속 포르피린 착체가 비록 in vitro에서의 연구 결과이긴 하지만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인 세포독성만을 발현하는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임이 규명되었고, 그 항암 효능이 기존의 항암제들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하다는 결과들을 음미할 때 매우 고무적이나 앞으로 체계적인 임상시험결과가 필요하며 다른 금속들에 대한 포르피린 착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저자
Kawakami H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32(11)
잡지명
Fine chemicals(E402)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11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