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장기의 표면을 생체적합화시키는 물질
- 전문가 제언
-
□ 인공장기의 각종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헤파린을 고정화(코팅)한 인공 폐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있으나 헤파린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순환 혈액으로의 용출이나 감염위험성 때문에 생체적합성을 코팅법에 의하여 간편하게 부여할 수 있는 비이온성으로 중정도의 친수성을 갖는 폴리(2- 메시에틸아크릴레이트(PMEA)가 개발되었다.
□ PMEA를 코팅한 인공심폐에 인간혈액을 순환시키고 논코팅 및 헤파린 코팅의 인공폐와 비교시험을 한 결과 PMEA코팅표면이 우수한 혈액적합성을 보였다. 또 사람혈장을 사용한 흡착실험에서도 PMEA표면의 흡착량은 다른 폴리머에 비하여 적었으며 PHEMA와 거의 같은 수준이 었다.
□ 시차조사열량계를 사용한 PMEA중 물의 구조측정에서 승온과정 중 저온결정화 하는 특이한 물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나 PHEMA 등에서는 이러한 물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즉 부동수와 자유수 사이의 중간수는 고분자표면에 안전하게 존재하며 PMEA가 단백질 등의 생체성분과 상호작용이 적은 이유는 바로 이 중간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 고분자의 희박용액을 고체기판상에 캐스트하여 규칙적 패턴구조를 형성하거나 미소 수적을 주형으로 하는 자기조직화에 의한 고분자다공질박막의 제막법이 개발되었다. 즉 공경이 균일한 자기지지성 다공질박막과 혈액적합성표면처리를 조합함으로써 세포분리막이 요구하는 고선택성 분리성능과 세포나 혈액성분의 손상이 적은 표면이 구축될 수가 있다. 따라서 세포분리조작시에 세포와 액성성분의 손상이 적은 다공질막은 목적세포를 소프트하게 트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재생의료를 위한 임플란트 장치표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Masaru, ta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20(12)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v. 2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9~71
- 분석자
- 성*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