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용성 약물 가용화 물질의 생체적합성
- 전문가 제언
-
□ 생리 활성이 강한 약물의 대부분은 난용성이고 이제까지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를 위하여 사용된 가용화제는 생체 내에 투여할 때 생체 적합성이 부족하였다. 가용화제가 바로 생체 내에 투여되는 것이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을 구비하여야 된다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그래서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물질을 설계할 때에 생체 적합성 물질의 설계지침사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생체 적합성 난용성 약물 가용화 물질의 설계와 PTX, AmB의 가용화에서 PMB30W와 PMS90은 모두 난용성 약물의 수용해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기능을 나타내고 또한 양친매성이면서 생체 적합성 폴리머바이오물질이다. 특히 PMB30W는 PTX 외에도 비타민E 등의 가용화에 적합하고 PMS90에 의한 AmB 가용화에서는 약물의 구조에 적합한 소수성 유니트 SMA를 도입함에 의하여 친화성이 높다.
□ 따라서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를 비롯하여 바이오분자의 특성에 맞추어 폴리머 물질을 최적으로 분자 설계하는 것이 향후 바이오공학의 전개에 중요한 부분이다.
- 저자
- Kon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20(12)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v. 2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5~43
- 분석자
- 성*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