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항치매약의 개발현황 및 전망

전문가 제언
□ 노인성 치매는 인지기능의 상실을 주 증상으로 하기 때문에 환자는 물론 그 가족의 QOL(생활의 질) 악화와 함께 의료 경제적 면에서도 막대한 손실을 일으키기 때문에 큰 사회 문제로 되고 있다.

□ 특히 알츠하이머병(ATD)은 아직 그 발생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난치병으로 세계 각국에서 그 원인 구명과 치료약물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 현재 이 질환의 중요 증상의 개선에 목적을 둔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젠, 및 NMDA 수용체의 길항제 등의 치료약물이 개발되어 시판 중이나 그 효과는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 본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 항치매 약물 개발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치매질환의 대증요법(대상요법)보다는 원인요법 개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원인요법으로 최근 최신 분자생물학적 지견을 기초로 종합한 ATD의 가장 가능성 있는 발병 원인물질로 여겨지고 있는 Aβ의 Cascade가설에 의해 개발 약물 개발과 유전자 치료 등 첨단적 연구접근의 전략이 시도되고 있다.

○ 아직 대부분 기초시험단계로서 유용한 결과들이 도출되고 있으나, 금후 치매연구를 위한 적정한 시험모델(유전자 변형동물의 제작 등)의 개발 및 명확한 발병 기전의 해명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근거한 약물개발의 임상적 적용에는 다소 시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본고에서 기술한 항치매 약물 개발 현황과 전망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과 내용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항치매 약물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바, 그 연구 개발 전략수립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며, 상세한 것은 본문을 참고 바란다.
저자
No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54(9)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9~59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