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의 분리 분석 기술

전문가 제언
□ 정밀하고 청정한 제품을 생산하는 바이오 테크놀로지에 있어서는 정제 및 분리, 분석기술은 매우 중요하며 이 분야의 핵심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배양 중에 포함되는 목적물질을 최종제품으로서 얻기 위해서는 몇 종류의 분리정제 조작을 조합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들 일련의 분리정제 조작을 분리정제 공정이라고 부르는데, 그 목적에 따라서 4가지(고형물 분리공정, 세포 파쇄공정, 조분리공정, 정제공정)로 분류된다.

□ 분리 방법에는 이 논문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몇 가지가 있다.

○ 여과(Filtration): 현탁액 중의 입자를 필터라고 부르는 다공성의 격벽에 의해서 분리하는 조작인데, 중력의 작용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리하기가 곤란하여, 가압 또는 감압하는 등 압력을 이용한다.

○ 막분리(Membrane Separation): 이 방법은 막의 투과성이 물질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막에 의하여 바이오프로덕트를 분리정제할 때, 막의 기능은 격벽, 물질의 식별, 물질의 투과이며, 분리를 위한 구동력은 별도로 주어진다. 구동력으로서는 농도차, 전장, 압력 등이 이용된다.

○ 재결정(Recrystallization):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조작 후에 행하여진다. 재결정에 쓰이는 용매는 목적물질을 비결정성으로 하거나 오히려 불순하게 하는 일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용매는 용질과 반응하지 않아야 하고, 가열시 용해도가 냉각시의 그것보다 충분히 커야하며, 용매가 불순물을 잘 용해해야 한다.

□ 196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폐결핵은 국민병이라고 일컬어졌으나, 지금은 B형간염이 그것에 필적할 정도가 되었다. 국민건강을 위해서 이 병을 퇴치하기 위하여 B형간염 백신의 개발이 긴요한 때이다. 의약분야에 있어서 BT의 역할은 막중하며, 그 중에서도 바이오프로덕트의 정제 및 분리기술은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Hideki Koh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54(9)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0~48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