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저 에너지 이온빔 기술과 재료개발에의 응용
- 전문가 제언
-
□ 이온빔분석(ion beam analysis)은 1960년대 초 반도체검출기의 발명과 함께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온빔 분석의 주요 장비인 정전형 가속기는 그 이전에도 많이 존재하였으나 주로 핵물리 실험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분석을 비롯한 응용분야에 사용되기에는 검출기술이 너무 불편하였다.
□ 초창기인 1960년대 초에 RBS(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 Channeling 및 NRA(Nuclear Reaction Analysis) 분석법들이 태동하였으며, 1970년대 초에 PIXE 분석법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고 1970년대부터 ERD(Elastic Decoil Detection) 방법이 확립되었다.
□ 현재 이온빔분석은 표면 및 표면근처의 분석수단으로서, 현대의 표면과학 및 반도체를 비롯한 박막소재의 특성평가에 필요불가결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의 초미세 분야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이온빔분석기술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이온빔 분석은 박막, 표면 및 벌크시료의 분석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박막의 특성평가에 있어 이온빔 분석법은 거의 필수 불가결한 수단으로 자리매김이 되어 있다.
□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 선진국에서는 각 연구기관, 대학별로 이 기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 거의 당연시 여겨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그 응용이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 극저 에너지 이온 빔 기술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 장비와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재료 개발에 대한 인식확산과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 저자
- Masato KI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9(7)
- 잡지명
- 플라즈마 핵융합학회지(N07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45~649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