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에너지 시스템에서 배열처리
- 전문가 제언
-
□ 냉난방기기의 확산으로 민간부문의 에너지소비 증가는 도시지역에서 지역온실화문제(열섬:heat island)를 발생시켜 이에 대한 대책이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 대책의 하나로 소위 ‘지역에너지시스템’이라고 하는 냉방이나 난방, 급탕에 필요한 열을 종합적으로 취급하는 시스템이 있다. 지역에너지시스템의 장점은 냉난방 등으로 배출되는 폐열을 종합적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그 효과가 커서 지역온실화 문제를 완화시키는데 크게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여기서는 2001년 일본에서 국토교통성과 일본지역냉난방협회가 중심이 되어 지역에너지시스템으로 지역온실화 문제를 완화하는데 기여한 그 성과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하절기 냉방으로 배출된 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각 건물 및 지역 냉난방 플랜트에서 배출되고 있는 폐열을 회수하여 하천이나 해수로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지역에너지시스템의 결과와 효과에 대한 검토로 Tokyo중심부인 Tokyo역 주변 사방 6km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하절기인 6월 오후 1시경의 낮 기온이 0.4℃ 떨어지는 효과를 얻었고 이것을 근거로 정량화한 계산에서 에너지가 년 간 494TJ이 절감되고 CO2가 년 간 20,804t 저감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이 시스템은 냉각탑이 필요 없음으로 냉각급수가 년 간 1,059천㎥ 절감되었다.
□ 우리나라에서도 도심의 온도변화는 심각하며 특히 여름철에 에어컨 등의 냉방기로 인한 도심부의 온도상승은 인간의 활동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지역에너지시스템은 배관 공사나 설비 공사로 비용이 많이 들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비용과 상계해서 투자회수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비록 경제성이 없더라고 사회적으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그 대책이 필요하다.
□ 지역에너지시스템의 도입이 여름철의 주간 도심온도상승과 야간의 열대야 현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에너지절약과 CO2저감에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나 하천과 바다에 폐기되는 냉각수의 영향 또한 정밀한 조사와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Satoh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12(11)
- 잡지명
- 크린에너지(N2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3~26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