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최근 마이크로 가스엔진 열병합 동향
- 전문가 제언
-
□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은 처음 북유럽에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냉각 폐열을 주변 지역난방열로 공급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석유 파동 후 지역난방을 위해서 대규모 집중 형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은 전력과 열을 수송하는데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래서 그 후 소규모 분산 형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이 급속도로 개발, 보급되었다. 최근에는 가스엔진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이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에 분산 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10㎾ 미만의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의 보급이 최근에 특히 증가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1995년에 10㎾ 미만의 내연 화력발전 설비는 전기기술주임 기술자 선임이 필요 없도록 전기사업법이 개정되어 더욱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도입이 용이해졌다. 또한 인버터 등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의 관련 제품이 개발, 보급되고 설치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은 계통분리형에서 인버터연계 구성 방식으로 상업화된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은 총합효율이 80% 이상으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적인 측면에서도 아주 우수하고 이에 따른 저 소비 에너지로 인해 지구온난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CO2 저감에도 큰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이 효율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계통분리 방식보다는 기존의 상용 전력과 혼합해서 사용하는 계통연계 방식이 훨씬 합리적이다. 장래에는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이 코제너레이션 중에서도 주류를 이룰 것이며 수요 시설의 규모, 용도, 전기와 열에너지 사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보급과 함께 더욱 더 보급이 확대될 것이다.
□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은 폐열을 더욱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발전 효율의 향상으로 총합 효율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인버터 등 주변 기기의 고효율 제품 개발이 코제너레이션 보급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Ohi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12(10)
- 잡지명
- 크린에너지(N2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4~17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