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열 다소비 사업장에서의 분산형 발전시스템

전문가 제언
□ 이 문헌정보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열 다소비 사업장에서 기존의 보일러, 증기 터빈을 디젤 기관과 배 가스 재 연소 보일러로 구성하는 분산 형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열병합 발전 시스템)으로 바꾸는 것이다.

□ 열병합발전시스템은 구성 기기에 따라 증기터빈 가동 시스템, 가스터빈 가동 시스템, 디젤엔진 가동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증기터빈 가동 시스템은 보일러에서 고압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배기 또는 추기 터빈의 추기를 이용해서 냉, 난방 및 급탕용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가스 터빈 가동 시스템은 가스 및 석유 계통의 연료를 이용해서 가스터빈을 가동하여 발전하고, 배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배가스 보일러 저압 증기나 온수를 발생하여 냉, 난방 및 급탕용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 디젤엔진 가동 시스템은 경유를 원료로 이용하여 엔진을 가동해서 발전하고 배 가스와 엔진 냉각수로부터 열을 회수해서 냉, 난방 및 급탕에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디젤 엔진을 발전기 전용만으로 사용하는 예는 많이 있으며 대부분 비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 일본의 열병합 발전 체계는 이미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으나 소규모 분산 형 열병합 발전은 1980년대 들어서서 급격히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석유 대체 에너지로 LNG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가스회사, 엔진제조 회사, 전기 회사들이 먼저 자기 회사의 영업소에 가스엔진 구동의 소규모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여 실증을 보임으로써 보급을 크게 확장시키고 있다. 그 결과로 최근에는 수십 kW급에서 수백 kW급 소규모 분산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매년 80~100대 정도씩 보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분산형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은 미미한 상태이다. 열병합 발전은 열과 전기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아 에너지 절약과 지구환경 보전에 적합한 시스템이므로 계속 확대 보급되어야 할 것이며, 이 시스템의 발전 효율과 배열의 유효 이용기술에 대해 계속해서 연구 개발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Sen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12(8)
잡지명
크린에너지(N257)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37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