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촉진 - 경제성과 자원확보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란 원래는 생물체 총량을 나타내는 생태학 용어인데 최근에는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생물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얻어지는 에너지를 바이오매스 에너지라고 한다. 식물은 태양에너지와 이산화탄소로부터 유기화합물을 만든다. 이 유기물은 물질순환 사이클에 의해서 동물, 미생물 및 무기물로 변해 가는데, 이 사이클에 관여하는 모든 물질을 바이오매스라고 한다.
화석연료가 유한한 데 비해 바이오매스는 태양에너지, 공기, 물, 토양의 작용에 의해 생성되므로 무한히 생성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되어 연구되고 있다.

□ 일본의 바이오매스 이용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이 기대되는 삼림 바이오매스의 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정부의 지구온난화 삭감목표치는 6%였지만, 그 중 3.9%는 삼림자원 등으로 흡수가 예정됨으로써(2002년 3월 기준), 삼림자원에 대한 기대는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국가전략의 시점인 <바이오매스․일본 종합전략> 중에서 다루었던 것처럼 실현을 위한 방책은 현재로서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는 않은 것 같다.

□ 삼림 바이오매스 이용의 대전제는 임업과 목재산업의 자립이다. 삼림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삭감은 산림면적을 늘림에 따라, 직접적인 이산화탄소의 흡수 외에, 삼림의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에너지, 재료, 화학원료에 이용하여 화석연료와 원료를 대체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삼림의 미이용 바이오매스는 제재 등의 공정에서 나오는 잔폐재나 벌채․제재의 과정에서 나오는 임지잔재 그리고 이용되지 않은 제․간벌재가 있다. 이미 제재 잔폐재의 이용률은 95%로 대단히 높으며, 향후 이용가치가 큰 것은 임지잔재나 제․간벌재이다.

□ 일본의 바이오매스 이용촉진을 휘한 <바이오매스․일본 종합전략>의 야심적인 계획은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신에너지’로 법률로까지 정하고 있다. 내각부를 비롯한 정부의 6개 부처가 참여하는 대단한 계획이 부럽다. 우리나라는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인구밀도는 높고 자원은 빈약하여 두뇌자원밖에 믿을 것이 없는 우리나라도, 소각하거나 매립위주로 하고 있는 미이용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에 정책적인 대응이 절실히 요망된다.
저자
Yukiko Ar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23(10)
잡지명
에너지리뷰(N342)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11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