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미국 원자력발전 설비이용 효율의 비약

전문가 제언
□ 미국의 원자력발전소 설비이용율은 1980년도에 56%, 1990년도에도 66%로서 좋은 편이 아니었다. 그러나 전력시장 자유화와 규제완화라는 도전에 맞서, 발전단가를 보다 낮추기 위해서는 설비이용율의 향상이 불가피했다. 이를 위하여 미국의 원자력산업계는 1980년대에 결성한 미국원자력발전협회에서 개발한 발전소 성능지표를 통하여 발전소의 성능향상을 도모하였으며, 규제기관도 이 성능지표를 규제에 도입하여, 성능지표가 탁월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해서는 입회검사를 줄이고, 반대로 이것이 나쁜 원자력발전소에는 입회검사를 강화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장주기운전이나 출력증강, 그리고 운영허가 변경신청에 대한 규제지침을 새로 제시함으로써 규제절차를 투명하게 하여, 전력회사가 대처를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 원자력발전소의 설비이용율 향상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핵연료 교체장전을 위한 원자로정지 기간이 줄어든 때문이다. 발전소에서는 이 기간에 원자로설비 및 기기에 대한 정기점검을 하는데, 이는 리스크정보에 의한 운전보수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어서 고연소도 핵연료의 개발로 장주기운전이 가능해졌다. 미국에서는 현재 가동중인 거의 모든 경수로에서 장주기를 채택하고 있으며, 약 2/3가 18개월 주기를, 나머지 1/3이 24개월의 장주기운전을 채택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원자력발전소의 설비이용율이 세계 최상위 그룹에 속하고 있다. 여기에는 일찍부터 장주기운전 전략을 도입한 것이 주효한 것이다. 그러나 핵연료 교체장전을 위한 원자로정지 기간은 줄이지 못하고 있다. 이 기간에 철저한 정기점검을 실시함으로써 발전소 운전중의 불시정지를 예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스크 정보에 의거한 보수기법을 도입하면 보다 설비이용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23(9)
잡지명
에너지리뷰(N342)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15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