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절약기술의 최근 경향 - 에너지 진단법-
- 전문가 제언
-
□ 현재 우리나라는 에너지 관리공단에서 정부의 위임 아래 각종 에너지 관련 시책 시행과 함께 에너지관리 진단까지 담당하여 많은 실적을 거두고 있다.
□ 에너지관리 진단에는 산업체/건물 에너지관리 진단이 있고 또 건물 인증 제도까지 운용하여 자금 지원까지 폭넓은 에너지 관련 활동을 하고 있고 열진단 및 전기 진단 외에 열화상 진단까지 실시하여 개별 대상에 대한 수치에 근거한 대책 제시를 하고 있어 신뢰성을 높여주고 있다.
□ 다만, 본문의 일본 사례에서 보듯이 건물의 용도별 원단위 비교를 하여 에너지 관리의 좋고 나쁨을 비교 판단하지 않고 대상 건물에 한정하여 실시함으로서 최종 목표치에 대한 객관성이 다소 떨어지는 점이 있다고 본다. 이는 건물 용도별 에너지 소비 원단위의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여 동일용도 건물에 대한 원단위 비교가 쉽지 않은데 그 원인이 있다.
□ 따라서 산업체와 함께 점차 증가하는 건물 에너지수요에 비추어 건물 용도별 에너지소비 실태조사와 함께 원단위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에너지 관리의 도구로 활용한다면 좀더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진단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Nisaka daka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49(8)
- 잡지명
- 건설기술(A09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2~29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