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에너지절약의 현황과 동향

전문가 제언
□ 일본에서는 에너지 절약 정책으로 에너지 절약을 강화하기 위해서 1993년 3월 에너지 절약법 개정을 시행하여 개정법에 따라 에너지 절약과 사용 합리화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 석유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국제 유가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에너지 절약을 들 수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GDP는 세계 12위이지만 에너지 소비량은 1억 9천 2백만 TOE(석유 환산)로 세계 10위에 있다. 또한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2.9%로 OECD 평균 1.8%나 세계 평균 1.5%에 크게 웃돌고 있어서 경제 규모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방만하다. 즉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이 매우 절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일년에 에너지를 10% 절감할 경우 에너지 관리 공단의 분석 자료에 의하면 순수입 감축 효과가 30억 달러로 최근 우리나라 무역 흑자 100억 달러 정도 중 약 30%에 해당하는 것으로 에너지 절약이 무역 수지 개선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한 몫을 하고 있음을 잘 보여 주고 있다.

□ 지구 온난화 현상을 막기 위해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들은 기후 변화 협약을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하여 이산화탄소 등 온실 가스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감축하자고 제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 온실 가스 배출은 에너지 소비에서 발생하므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법은 에너지 절약을 통한 에너지 저소비와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여 에너지 소비 증가율을 낮추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종 에너지 관련 설비와 기기를 고효율 장비로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특히 전체 에너지 소비의 60%를 차지하는 산업 부문의 에너지 절약이 강력히 추진될 수 있도록 에너지 절약 실천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고 건물 등 에너지 사용 시설에 에너지 관리 공단이 승인한 고효율 전기 기기나 냉난방 설비, 단열 등 에너지 절약 제품을 설치한 후 에너지 절감 금액으로 투자비와 이윤을 회수하는 에너지 절약 전문 기업(ESCO) 사업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저자
T. 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49(8)
잡지명
건설기술(A098)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0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