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OLED의 재료 및 디바이스
- 전문가 제언
-
□ 현재 핸드폰용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소형 디스플레이의 주력 제품은 액정 디스플레이다. 그러나 1998년 일본 Pioneer Co.에 의해 유기 EL 또는 OLED로 불리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차량 탑재용 제품이 첫 선을 보인데 이어, 2000년 Motorola Co.에 의하여 시판된 유기 EL 채택 단말기도 매우 성공적이므로 앞으로 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유기 EL(전계발광)현상은 1950년대에 발견되었고, 1987년 미국 Kodak Co.의 Tang이 저분자 박막을 이용하여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유기 EL소자를 개발한 이래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 영국 Cambridge University의 Friend 교수팀에 의하여 고분자 박막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가 개발되었다.
□ 유기 EL 소자는 유기화합물을 두 전극 간에 샌드위치 형태로 배치하여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까지 이동하여 여기상태의 에시론으로 결합된 후, 기저상태로 천이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을 이용한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이다.
□ 유기 EL소자는 LCD와 달리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며, 색감이 우수하고, 시야각이 160도 이상이고, 응답속도가 빨라 패시브 구동으로도 동영상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디지털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비디오폰 등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이다.
- 저자
- C.Adachi, et a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2(12)
- 잡지명
- 전자재료(A12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5~39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