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엘렉트로닉스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세계 주요국들이 나노기술개발을 위한 국가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나노기술연구는 이 자료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과학의 범주 내에서 진리탐구형 연구가 있고, 기술개발을 통한 새로운 재료의 창출과 BT, IT 등에의 혁신적 응용결과를 기대하는 연구가 있다. 많은 연구투자의 경우, 후자를 목표로 하면서 아직은 전자에 연구비중이 집중되고 있는 단계로 판단하고 있다.
□ 이 자료는 일본 기술지「전자재료」(2003.11)의 특집 ‘나노 일렉트로닉스의 과제와 가능성“의 총론부분으로 ”나노 일렉트로닉스의 전망“을 주제로 하여, 이 분야의 진리탐구형 연구와 실제 산업응용의 현황과 전망을 개략적으로 다루고 있다.
□ 저자(Osaka대학 K. Matsumoto교수)는 본론에 앞서 나노기술의 출현배경을 거론하고 있다. 그는 1990년에 일본이 침체된 국가경쟁력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연구 중심에서 기초연구의 강화전략을 채택하고 그 일환으로 출발한 「양자화 기능소자의 연구개발」프로젝트가 나노기술의 원형임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산업화가 어렵다는 정부 관료의 판단오류로 추진중지상태에 있었던 반면, 그 기술의 미래가능성을 간파한 미국이 1990년대 중반 국가나노프로젝트인 NNI(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를 출범시켰다는 주장이다. 이 후 일본은 나노기술연구개발을 국가프로젝트로 설정한 바 있다. 저자는 관료의 미래의 과학기술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국가과학기술정책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강조하여 주목을 끈다.
□ 저자가 이 자료에서 논의한 현황설명 자료는 이미 국내전문가들이 확인하고 있는 수준으로서 새로운 정보가치가 있는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수년 내에 나노기술연구가 실용화로 이어져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사례들이 등장하지 못할 경우 연구열기의 급속한 하향을 경고하고 있는 점, 진리탐구형 연구와 실제 산업의 발전과 이어지는 실용화 연구의 병행을 강조하는 것은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Kazuhiko, MATSU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2(11)
- 잡지명
- 전자재료(A12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