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정 폴리머 FPC를 사용한 플렉스 리지드 배선기판
- 전문가 제언
-
□ 전자산업의 급속한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모바일화 등이 진행됨에 따라 통신기기, 반도체, 패키지, 모바일기기 등 전자제품이 급속히 고속화, 고집적화 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전자제품의 기초가 되는 프린트 배선기판도 고속화 및 고집적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먼저 고속신호의 전송을 위한 프린트 배선기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특성을 갖는 재료가 필요하며, 이 재료의 가공기술 및 설계기술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 수동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부품 및 실장에 소요되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노이즈 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린트 배선기판 속에 저항 및 커패시터 등을 내장하는 전자부품 내장 배선기판기술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 이와 같은 새로운 전자부품 내장 배선기판기술이 등장하면서, 빌드업 배선공법으로 보다 고밀도 배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리지드 형 배선기판과 플렉스형 배선기판을 융합하여 고속전송에 적합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디지털전자 주요품목 시장동향분석 자료에 따르면, 2004년 4월 현재 전자부품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7.0% 증가한 29.4억 달러로, 지난 3개월간 계속 5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전자부품의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29.4% 증가한 26.8억 달러로, 수출용 원자재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품․소재 부문의 기술개발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S.Arizumi, et a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2(10)
- 잡지명
- 전자재료(A12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0~54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