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태그(RFID)와 트레이서빌리티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정보통신부는 IT 8-3-9 전략에 따라 2010년까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등 3대 IT 인프라의 전국 상용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USN은 모든 사물에 전자태그를 부착, 인터넷에 연결하여 정보를 인식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이며, 전자태그, 텔레메틱스 분야를 통하여 US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그러나 RFID/USN은 대규모 전자태그가 단말기로 작용하며, BcN 및 IPv6와 연동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여야 하는 네트워크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포함하는 정보보호 문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 이에 따라 전자태그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및 네트워크 보호 등 측면에서 정보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인증기술, 도난방지기술, 데이터 기밀성 보장기술 등 정보보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RFID/USN 네트워크에 적용할 요소기술의 연구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 허가 받지 않은 제3자에 의하여 전자태그의 정보가 유출되어서는 안되며, 정보가 유출되었다 하더라도 그 정보가 제3자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되어서는 안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기술은 인증 및 접근 제어기술, 도청방지기술, 정보 차단기술 등이 있다.
□ USN과 인터넷이 연동되는 백엔드 시스템의 보호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해결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문제를 해결하는 안전한 USN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비로소 트레이서빌리티가 가능한 전자태그를 유용하게 이용하게 될 것이다.
- 저자
- H.Takagi , et a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2(9)
- 잡지명
- 전자재료(A12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8~44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