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상파방송의 디지털화와 유비쿼터스

전문가 제언
□ 2004년 7월 8일 우리나라 디지털 TV 전송방식 표준이 확정되어, 고정식의 경우 미국식 ATSC-8VSB 전송방식을, 이동수신의 경우 유럽방식에 기반을 둔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VB-H)을 채택하게 되었다. 또한 지상파 DMB의 경우, 수도권 방송사업자와 지역 방송사업자의 차별이 없이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디지털 TV는 제작, 편집, 전송, 수신 등 방송의 모든 과정에서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TV 방송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음성, 문자, 영상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처리하는 아날로그 TV와 다른 개념을 갖고 있다. 종래의 TV는 모두 아날로그 방식으로, 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화질과 음질이 선명하지 않으며, 한정된 채널 밖에 볼 수 없다.

□ 그러나 HDTV 방송이 한 채널당 1개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고, SDTV 방송은 4개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채널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HD급은 현재 TV보다 5배 선명한 화질을, SD급은 DVD급 화질을 각각 보여 주고 있다. 음질면에서는 돌비 디지털 서라운드 기술을 이용하여 5.1채널의 입체음향 수준을 제공한다.

□ 우리나라 디지털 TV 지상파방송의 경우, 2001년 10월 26일 서울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디지털 위성방송의 경우 2002년 3월에 출범하였으며, 기존의 CATV 방송도 디지털화가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은 2003년에 광역시로 확대되었으며. 2005년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디지털 방송이 실시될 것이다.

□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의 전면적인 실시, 초고속 인터넷 및 핸드폰의 충분한 보급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21세기 유비쿼터스 사회를 착실히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Editor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36(11)
잡지명
위성과 케이블티브이(B286)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8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