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 보전 종합 시스템의 개발

전문가 제언
□ 보전업무의 품질 향상과 효율화 및 설비 신뢰성 향상을 고찰하여본다. 보전 업무 시스템화에 의한 보전 PDCA의 고도화․효율화하기 위하여 업무 분류, 종래의 문제점 그리고 주된 개선점이 있다.

○ 설비사양에 있어서, 정보의 분산, 정보검색을 위한 기기 코드 입력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은 정보를 집약한 데이터베스의 구축, 기기명칭에 검색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으로 개선한다.

○ 년도 공사 계획과 장기 공사 계획에 있어서, 설비의 장기적인 점검계획이 협력회사와 공유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는 협력회사와 점검계획정보를 공유화하는 것으로 공사 품질 향상을 개선한다.

○ 공사 설계에 있어서 적산에 시간이 걸리고, 설계 정보가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는 필요 정보는 전산화하고, 예산 적산은 자동화하며, 공사 설계 정보의 축적과 공유화를 개선하다.

○ 보전 표준과 설비 평가에 있어서, 정보가 분산되고 실기 상황 점검 기준을 고치는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들은 방대한 축적데이터의 다면적인 분석/평가 지원, 처음부터 끝까지의 개발, 실기상향을 반영한 점검 기준책정의 신속화 등으로 개선한다.

□ 국내 원자력 발전소는 현재 경수로 방식의 고리 1, 2, 3, 4호기와 중수로 방식의 월성 1, 2, 3, 4호기 등 모두 18기가 가동되고 있다. 2004년 완공 예정인 울진 5, 6호기를 포함해 2015년까지 장기계획으로 신 고리1, 2호기 등 경수로 방식 8기(8천8백MW)를 추가하면 앞으로 총26기가 될 것이다.

○ 원전은 국내 전력의 40%를 공급하는 중요한 전력원으로서 원전 설비 용량(1만5천7백 MW)은 세계 6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표준형 원전 개발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중국, 루마니아, 베트남 등에 해외원전 건설 및 운영기술 수출에 나서고 있다.

○ 이와 같은 입장에서, 원자력 에너지를 적절히 제어∙운용하고, 축적된 방사성 물질을 안전 관리하는 원전 수거물 관리센터의 설립이 시급하며, 원자력보전 종합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될 것이라고 보인다.
저자
Takadka, Kog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42(497)
잡지명
전기현장기술(B40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2~27
분석자
김*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