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의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앞으로 보편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전력기기의 IT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확보의 중요성은 더욱 절실한 것으로 무정전 전원장치도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을 필요로 함을 제언한다.

□ 무정전 전원장치는 전력소비의 급증과 디지털화로 전력공급의 신뢰도향상과 세계 시장 규모의 증가폭에 신속히 대처하여야 하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이후부터 디지털기술, 디지털 제어기술 등이 급속하게 발전되어 왔으며, 고품질의 전력기기 제품들을 개발하기 위하여서는 외국제품과 비교할 수 있는 독창적인 신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도 디지털형으로 신뢰도가 높고 종합효율은 85~88%정도이며 최대 8대의 병렬운전도 가능한 매우 우수한 제품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외국제품의 95%수준과 비교할 때 제품의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효율향상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전력 축적 요소인 충전부분으로 고효율 축전지의 개량이나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UPS의 효율향상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저자
Y. Shintatsu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32(12)
잡지명
전설자재(B51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8~53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