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정보화 배선시스템의 최근동향
- 전문가 제언
-
□ 초고속 인터넷 및 핸드폰의 보급 확대, 지상파 TV방송의 디지털화 등으로 일반 가정에서의 정보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디지털 홈 구축을 위하여 서비스 모델 개발, 시범사업 추진 등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일본, 영국, 싱가폴, 스웨덴 등 국가에서는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원격진료, 홈오토메이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의 수용성, 안전성, 신뢰성의 확보를 위한 시험을 실시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개발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 우리나라 건설사업자들은 사이버 아파트 등의 경험을 기반으로 가전업체, ISP 업체들과 협력하여 초기단계의 디지털 홈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 삼성건설은 타워팰리스에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홈오토메이션, 정보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등을 상용 서비스하고 있다.
□ 통신사업자 및 방송사업자들은 통신과 방송의 융합추세에 대응, 신규 수요창출을 위하여 경쟁적으로 사업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방송사는 네트워크의 디지털화를 진행 중이며, 통신사는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등 신규 사업영역 확장을 모색하고 있다.
□ 가전업체는 홈 네트워크산업의 활성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PLC 기반의 홈 네트워킹기술을, LG전자는 홈 네트워킹용 프로토콜 LnCP, 핵심 칩, 모듈 등을 개발하고 있다.
□ 정보통신부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간 전국 1,000만 가구를 대상으로 홈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주택 정보화 배선시스템의 해외 기술동향을 이해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 저자
- K.M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32(7)
- 잡지명
- 전설자재(B51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9~35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