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톱 런너 대응 배전용 슈퍼 고효율 유입 변압기의 개발

전문가 제언
□ 최근 변압기는 고전압화, 대용량화, 소형화의 경향이며, 특히 저손실화, 콤팩트화, 저소음화 및 신뢰성의 향상 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이들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개발이 요구된다.

□ 변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변압기의 효율은 손실과 부하율에 관계가 있으며, 무부하손인 철손은 부하손에 비하여 적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부하손은 부하율이 40%인 경우에는 무부하손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보다 낮은 부하율에서는 무부하손이 중요한 손실로 된다. 따라서 변압기의 무부하손 저감대책은 중요하다.

□ 변압기의 손실저감대책으로는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자속밀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철심에 자구제어전자강대 등을 채용하여 변압기의 저손실화기술을 이미 개발한 것으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 배전계통에서의 변압기손실의 점유율은, 전손실의 40%정도로서, 에너지절감차원에서 손실을 저감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미 개발된 저손실형변압기의 효율은 98.6%로 매우 우수하다고 본다. 그러나 외국의 99%대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요즘 산업용변압기는 가격이 우선시되는 경향으로, 지금까지의 변압기제작은 효율보다는 공급가격이나 크기로서 경쟁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저가, 소형화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의식이 높은 것으로 지구환경보호, 에너지절감을 만족 할 수 있는 고효율 변압기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이며, 소형화 편중에서 효율중시의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저자
H. Matsub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614)
잡지명
산업과전기(C06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8~23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