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이휠 UPS(무정전 전원장치) 시스템의 개발

전문가 제언
□ UPS 시스템은 플라이휠 본체가 진공용기 내에서 운전하도록 되어있고 자기(磁氣)베어링 방식을 부분적으로 채용하여 기계손, 풍손 등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으나 진공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

□ 자기베어링 방식은 진공 중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마모가 거의 없는 공기(空氣)베어링(회전할 때 부력이 발생하도록 만든 방식의 베어링)은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 방식을 제안한다. 이 두 가지 방식을 비교, 검토 할 필요가 있으며, 후자의 방식은 일본의 대학연구실에서 이미 실험적으로 성공한 사례가 있다.

□ 플라이휠이 회전할 때 GD2로 표시되는 플라이휠 효과(fly wheel effect) 때문에, 회전수가 빠르면 매우 큰 원심력이 작용하여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회전체는 특수한 방식의 강체(剛體)로 제작하여야 하고 또 이에 알맞은 수납용기의 제작도 필요하다.

□ 플라이휠은 대기(待機)운전 상태에서 계속 회전을 시키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유지비 및 전력손실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정보화산업시대의 요구에 따라 무정전 전원장치는 계속 증대되고 있으며 많은 종류의 전원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UPS 시스템은 대응(對應)부하용량에 따라 납축전지와 같은 종전의 방식과 플라이휠 방식을 기술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H. Yam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613)
잡지명
산업과전기(C06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6~29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