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원자력 발전부문에서의 로봇 기술 개발

전문가 제언
□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방사선 환경에서 운전·보수관련 보수분야에서 방사선 피폭저감, 인력절약, 공정단축 등과 신뢰성·안전성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 기계화의 필요성이 높았고, 일찍부터 원자력용 로봇을 이용한 원격 자동장치가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 우리나라와 같은 18기의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1년 내지 18개월 마다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어, 여러 기의 원자력발전소가 동시에 정기검사를 받게 됨으로써 많은 인력이 동시에 동원되어야 하는데 훈련된 보수인력에는 제한이 있고, 보수작업 중 많은 방사선작업자가 방사선에 피폭되는 환경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위험 부담이 있다.

□ 가압수형 원자력발전소는, 원자로용기, 증기발생기, 1차 냉각 제 배관 등 1차 계통의 중요설비, 기기의 대부분이 원자로 격납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설비·기기는 방사선 관리구역 내에 있고, 또 협소하고 복잡한 장소에서 보수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사람을 대신해 작업을 하는 보수용 로봇의 도입, 활용이 매우 필요하다.

□ 일본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원자력발전분야의 A-UT기계와 MHI MARS-i기계 등의 보수작업에의 활용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저자
Yoshibumi Isoz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3
권(호)
88(11)
잡지명
전기평론(D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5~38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