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과 로봇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센싱기술
- 전문가 제언
-
□ 기업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 제품의 수요처 확보 및 수요처 개발에 따른 납기관리가 급선무이다. 다음이 양질의 제품을 위한 품질 및 생산관리이며 특히 양산(量産)을 위해서는 제품 생산 공정 중에 자동화 라인이 혼합되어 원활한 작업이 계속된다. 그러나 3D업종의 기피현상내지 물가상승, 인건비 인상압력 및 관리비를 비롯한 제비용의 상승 등으로 기업의 구조조정 압력으로 등장하는 자동화 중 로봇의 유용한 활동이 대두된다.
□ 전자분야의 발달로 로봇은 꾸준히 연구 개발되어 단순한 작업을 하던 인간작업의 단순 보조 기능에서 인간과 가까운 곳에서 인간의 의지파악에 의한 리얼타임 작업을 하며 인간이 가능한 행동을 스스로 하면서 복합기능을 소지하기에 이르렀다.
□ 로봇은 현재 보안기능 즉 어느 구역에 (침입자 관리로) 등록된 인간의 안면 이미지, 눈동자 및 안면의 움직임을 파악 확인해서 휴먼 모델링으로 중량물의 파지 및 운반작업 등 보행하는 로봇으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 분야의 장점은 휴식 없이 주어진 기간 동안 작업하므로 능률 향상이 기대된다.
□ 그러나 아직도 인간과 친숙성을 고려한 외모와 언어의 개발이 기대된다. 차후에는 3D업종에 투입되어 원활한 작업수행이 기대된다. 현재 실용화되어 가정에서 지킴이 노릇을 하는 로봇은 움직이는 동작이 휠(wheel)에 의해서 실행하지만 걸을 수 있는 인간 같은 로봇의 개발은 앞으로 10년간 기하급수적인 수요의 증대가 예상된다.
- 저자
- Tsukasa Ogasawa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88(11)
- 잡지명
- 전기평론(D07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5~19
- 분석자
- 송*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