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산형 전원의 기술동향과 장래 전망 -풍력발전의 최신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발표된 유엔환경계획의 환경예측 리포트는 시사하는 것이 많은데 환경우선(지속적인 발전우선), 경제우선, 정책운선, 안전보장우선의 4개의 정책 중에서 환경우선의 선택만이 2050년경부터의 대기온도상승에 따른 지구 온난화방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 EWEA는 ‘WIND FORCE 12"에서 2020년에 전 세계에서 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을 12%가 되도록 계획하고 있으며 이웃 일본에서는 COP3의 온실효과가스 삭감시나리오(6%삭감)에 따라 풍력개발의 목표치는 2010년까지 300만kW인데 이는 일본 전력수요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가능하다면 10%정도도 감당할 수 있는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풍력발전에 대한 외부조건은 아주 혹독한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처방안으로서 풍력발전과 같은 클린에너지의 개발이라는 시대적인 필요성은 피할 수 없으며 이의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과 혁신적인 정책이 요청되고 있다.
- 저자
- Matzmi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88(10)
- 잡지명
- 전기평론(D07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0~43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