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원자력발전소의 장주기 운전 도입

전문가 제언
□ 일본의 원자력발전소는 1990년대 후반까지 세계 제일의 설비이용율을 자랑하고 있었다. 이는 철저한 예방정비를 실시함으로써 고장률을 낮출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장주기운전을 채택하고 있는 미국이나 우리나라에 비하여 설비이용율의 격차가 커지고 있어, 2002년에는 미국에 비하여 설비이용율이 거의 10%포인트가 뒤떨어지고, 이는 경쟁력이 그만큼 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뒤늦게나마 일본도 장주기운전의 도입을 다각도로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

□ 미국의 경우는 거의 모든 원자력발전소에서 18개월 혹은 24개월의 장주기운전을 채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기검사 기간 자체를 크게 단축하여(20일 이내에 완료하는 경우도 많음), 2002년도에는 연평균 설비이용율 89.8%라는 기록을 달성할 수 있었다.

□ 우리나라에는 2004년 2월 현재 가압경수형 원자력발전소 14기와 CANDU형 원자력발전소 4기, 합하여 18기가 운전중에 있다 이 가운데 CANDU형 원자력발전소는 가동중에 핵연료 교체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 길이는 엄격히 말하여 발전소의 정기검사 빈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에 비하여 가압경수형 원자력발전소에서는 한 주기의 길이는 노심에 장전되어 있는 핵연료의 잉여반응도에 의하여 결정되며, 주기 말에 이 잉여반응도가 제로가 되면 원자로가동을 중단하고, 핵연료를 교체하면서 이 기간에 정기검사를 수행한다.

□ 우리나라는 이미 기술적 및 경제적 과제에 대한 검토를 거쳐, 600MWe급의 가압경수로 발전소에 대해서는 15개월, 950MWe급 웨스팅하우스형 및 1,000MWe급 한국 표준형원전에 대해서는 18개월의 장주기로 채택하고 있으며, 2004년에 상업운전에 착수하는 울진 5, 6호기의 경우에는 첫주기부터 18개월 장주기로 운전되는 세계 최초의 원자력발전소가 된다. 이어서 신고리 3, 4호기로서 현실화 예정인 1,400 MWe급 차세대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첫주기부터 24개월의 장주기를 기본으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전혀 저해하지 않고도 정기검사 기간 (현재 호기당 평균 약 57일)을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설비이용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저자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88(8)
잡지명
전기평론(D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1~34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