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정보 인터페이스 기술
- 전문가 제언
-
□ 생체정보 인터페이스 기술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여기서는 근육과 신경활동의 성질을 추구하고, 그 측정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근전시호는 근육이 내는 힘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피부표면에 전극을 부착함으로써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경을 전파하는 활동전위도 신경이 존재하는 생체조직이나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파괴함이 없이 비침습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이 계측방법으로서 초고감도의 자속계인 SQUID 자속계를 이용하여 생체자기를 이용한다.
□ 근육활동에 기인하는 동작인식을 위해 근전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연구와 신경세포를 전파하는 활동전위의 계측을 위해 생체자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연구를 한다. 먼저 무발성 음성인식을 위해 입 주변의 근육으로부터 근전신호를 측정하여 인식시키고, 그 인식결과를 텍스트나 합성발성으로서 출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말초신경용 SQUID 생체자기 계측 시스템에 의해 계측된 생체자기 데이터는 독자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는 생체자기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된다.
□ NTT Docomo 멀티미디어 연구소에서는 생체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념인 생체정보 인터페이스 기술개발을 위해 생체자기 데이터와 근전신호 등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연구의 제1보를 내딛고 있다. 더 나아가 앞으로는 자기를 확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인간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및 컴퓨팅(HC3)의 실현을 위해 연구개발을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Ninjoji Takashi,Manabe Hiroy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15(9)
- 잡지명
- NTT기술저널(N40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9~53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