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각종 시험법과 표준화
- 전문가 제언
-
□ 착실하게 발전하는 플라스틱 리사이클 기술
○ 플라스틱은 일상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제품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가 되었다. 플라스틱 사용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폐기되는 막대한 양의 플라스틱으로 인해 그 처리문제가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기에 이르렀다.
○ 1999년의 통계에 따르면, 일본 내의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량은 976만톤으로 이중 46%가 유효하게 이용되었다. 이 구성비율은 재생이용된 것이 14%, 쓰레기발전 등의 연료로 사용된 것이 17%, 각종열원·유화·제철원료 등에 이용된 것이 15%이다.
○ 한편 33%가 매립되고, 21%가 단순 소각되고 있다. 매립처리장은 포화상태이고 소각 시에 발생하는 다이옥신문제 등 플라스틱 폐기물처리가 커다란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 착실하게 정비되고 있는 플라스틱 리사이클 법규
○ 우리나라에서는 순환형 사회형성 기본법이 2001년 1월에 완전 실시되었다.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처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자원재활용(Material Recycle), 화학공정 재생이용(Chemical Recycle)이 열 재활용(Thermal Recycle)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등의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생자원의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통칭 ‘리사이클 법’)과 폐기물의 배출억제와 분별·수집·재생·처리 등의 적정처리를 정한 ‘폐기물 처리법’이 있다. 이러한 법률에 의해 플라스틱을 포함한 폐기물 문제에 대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사업자, 소비자의 역할이 명시되고 협력해서 효율적인 시스템 촉진이 요망된다.
□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그 시험법
○ 플라스틱 자체가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서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 등으로 완전히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하는데, 시험법(생분해성 평가방법)으로는 효소에 의한 방법, 미생물에 의한 방법, 퇴비시험법이 있다.
○ ISO, ASTM에서 규정이 진전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JIS에 규정을 정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뒤지지 않도록 KS에 이에 해당하는 규정이 정비되기를 요망한다.
- 저자
- Tadashi Yag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90(11)
- 잡지명
- OHM(A0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8~33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